Add parallel Print Page Options

여호와께 바친 것을 되찾는 규정

27 1-2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하라고 모세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자신을 나 여호와에게 드리기로 작정하고 특별한 서약을 했으면 그는 성소에서 통용되는 표준 화폐 가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액수의 돈을 대신 바쳐야 한다. 20세 이상 60세 미만은 남자의 경우 은 [a]570그램,

여자의 경우 은 342그램을 바치고

5세 이상 20세 미만은 남자의 경우 은 228그램, 여자의 경우 은 114그램을 바쳐야 한다.

그리고 생후 개월 이상 5세 미만은 남자의 경우 은 57그램, 여자의 경우 은 34그램을 바쳐야 하며

60세 이상은 남자의 경우 은 171그램, 여자의 경우 은 114그램을 바쳐야 한다.

그러나 서약한 사람이 너무 가난하여 이만한 돈을 낼 수 없으면 그는 제사장에게 가서 사정을 이야기한 후 제사장이 값을 정하는 대로 바치도록 하라.

“만일 예물로서 나 여호와에게 드리기로 작정한 것이 동물이면 그것을 반드시 드려야 한다.

10 그 서약은 변경될 수 없으며 서약한 자는 바치기로 되어 있는 그 동물을 다른 동물로 대치할 수가 없다. 만일 그렇게 하면 그 동물들은 둘 다 나 여호와의 것이 될 것이다.

11-12 그러나 그 동물이 부정하여 나 여호와 에게 예물로 드릴 수 없는 것이라면 그는 그 동물을 제사장에게 끌고 가야 할 것이며 제사장은 그 동물의 값을 결정해야 한다. 이때 제사장이 매긴 값이 그 동물의 값이 될 것이다.

13 만일 그 주인이 그 동물을 되찾아가려고 하면 그는 제사장이 매긴 값에 5분의 을 더 주고 그 동물을 사야 한다.

14-15 “어떤 사람이 자기 집을 구별하여 나 여호와에게 바치고 나서 그것을 되찾으려고 하면 그는 제사장이 매긴 집 값에 5분의 을 더 주고 사야 한다. 그러면 그 집이 다시 그의 소유가 될 것이다.

16 “어떤 사람이 자기 밭의 일부를 구별하여 나 여호와에게 바치고자 하면 그 밭에 뿌릴 수 있는 씨앗의 양으로 밭의 크기를 측정하여 가격을 정해야 한다. 만일 그 밭이 보리 [b]220리터를 뿌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라면 은 [c]570그램으로 그 값을 매기면 된다.

17 그가 희년에 그 밭을 바쳤을 경우 그 밭의 가격은 제사장이 처음에 정한 그대로이지만

18 그 밭을 희년 이후에 바쳤으면 제사장은 다음 희년까지의 남은 햇수를 계산하여 그 값을 재조정해야 한다.

19 만일 그 사람이 자기가 바친 밭을 되찾으려고 하면 그는 제사장이 정한 밭 값에 5분의 을 더 주고 사야 한다. 그러면 그 밭은 다시 그의 소유가 될 것이다.

20 그러나 그가 그 밭을 되찾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팔았으면 그는 그 밭을 다시 사들일 권리가 없다.

21 희년이 돌아오면 그 밭은 영영 나 여호와의 소유가 되어 제사장에게 돌아갈 것이다.

22 “만일 어떤 사람이 자기 소유가 아닌 다른 사람의 밭을 사서 나 여호와에게 바치려고 하면

23 제사장은 다음 희년까지 남은 햇수를 계산하여 그 밭 값을 매겨야 하며, 그 사람은 그 날로 그 밭 값을 나 여호와에게 바쳐야 한다.

24 그리고 희년이 되면 그 밭은 자연히 본래의 소유주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다.

25 그리고 [d]모든 값은 성소에서 사용하는 표준 화폐 단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26 “소나 양의 첫새끼는 이미 나 여호와의 것이므로 누구든지 이것을 나에게 예물로 드려서는 안 된다.

27 그러나 그것이 부정하여 나 여호와에게 바칠 수 없는 것이라면 주인은 제사장이 매긴 그 동물의 값에 5분의 을 더 붙여서 돈을 치르고 그 동물을 자기 소유로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가 도로 사지 않을 경우에는 제사장이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도 좋다.

28 “그러나 나 여호와에게 아주 바친 것은 사람이나 짐승이나 상속받은 토지나 그것이 무엇이든지간에 팔거나 되찾지 못한다. 그것은 영원히 나 여호와의 것이기 때문이다.

29 [e]처형당하도록 되어 있는 사람은 몸값을 치르고 다시 살릴 수 없다. 그러므로 그런 사람은 반드시 죽여야 한다.

30 “곡식이든 과일이든 농산물의 10분의 은 나 여호와의 것이다.

31 만일 어떤 사람이 그 10분의 을 자기 것으로 사려고 하면 그 값은 표준 시가에 5분의 을 더 붙여 지불해야 한다.

32 그리고 모든 가축의 10분의 도 나 여호와의 것이므로 짐승을 셀 때 열 번째 것은 모두 나 여호와에게 바쳐야 한다.

33 주인은 나쁜 것을 골라 바치려고 짐승을 셀 때 바꿔치기를 해서는 안 된다. 만일 다른 것으로 바꾸면 둘 다 나 여호와의 것이 되어 그가 다시 사들일 수 없을 것이다.”

34 이상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위하여 시내산에서 모세에게 주신 계명이다.

Footnotes

  1. 27:3 히 ‘50세겔’, 여기서 1세겔은 11.4그램으로 계산하였음.
  2. 27:16 히 ‘한 호멜’
  3. 27:16 히 ‘50세겔’
  4. 27:25 원문에는 ‘모든 정가를 성소의 세겔대로 하되 20게라를 1세겔로 하라’
  5. 27:29 또는 ‘아주 바친 그 사람은’

许愿的条例

27 耶和华对摩西说: “你把以下条例告诉以色列人。

“如果有人许下特别的愿,以付身价的方式奉献一个人给耶和华,就要为被奉献者估定身价。 以圣所的秤为准,要为二十至六十岁的男子估价五百五十克银子, 女子则估价三百三十克银子; 五至二十岁的男子估价二百二十克银子,女子则估价一百一十克银子; 满月至五岁的男子估价五十五克银子,女子则估价三十三克银子; 六十岁以上的男子估价一百六十五克银子,女子则估价一百一十克银子。 如果许愿的人因贫穷而负担不起,就要把他带到祭司面前,祭司要按他的能力另行估价。

“如果有人许愿献牲畜给耶和华作供物,所献的牲畜就会成为圣物。 10 不可更换所献的牲畜,不可以坏换好,也不可以好换坏。如果更换,两头牲畜都会成为圣物。 11 如果许愿献的是不洁净的牲畜,即不能献给耶和华作供物的牲畜,那人就要把牲畜带到祭司面前, 12 由祭司评定它的好坏,祭司估价多少就是多少。 13 那人如果有意赎回,必须支付祭司估定的价值,再加付五分之一。

14 “如果有人把房子献给耶和华,祭司就要评定房子的好坏,祭司估价多少就是多少。 15 那人如果想赎回房子,必须支付祭司估定的价值,再加付五分之一,房子便仍归他所有。

16 “如果有人把自己继承的部分土地献给耶和华,祭司就要按照土地的播种量来估价,撒二十公斤大麦种子的土地值五百五十克银子。 17 如果有人在禧年奉献土地,所估的价便是定价。 18 如果是在禧年以后献的,祭司要按照距下个禧年的年数来估价,估价要逐年减低。 19 如果那人想赎回所献的土地,要在估价的基础上加付五分之一,土地便仍归他所有。 20 他如果没有赎回土地,而是卖给别人,便再也不能赎回。 21 到了禧年,那土地要像永远献给耶和华的土地一样归耶和华,成为祭司的产业。

22 “如果献给耶和华的土地不是自己的产业,而是买来的, 23 祭司就要按照距下个禧年的年数来估价。那人要当天付清地价,地价归耶和华。 24 到了禧年,他要把所献的土地归还原主。 25 所有价银的称量要以圣所的秤为准,即二十季拉为一舍客勒[a]

26 “洁净牲畜的头胎,无论是牛是羊,已经属于耶和华,任何人不可再把它献给耶和华。 27 如果是不洁净牲畜的头胎,他可以在祭司的估价基础上,加付五分之一把它赎回;如果不赎回,就要按估价把它卖掉。 28 凡永远献上的[b],不论是人、牲畜或是田产,都不可卖掉,也不可赎回,因为这一切都属于耶和华,是至圣的。 29 凡永远献上的人不可被赎回,必须被处死。

30 “土地的所有出产中,不论是谷物还是树上的果实,十分之一属于耶和华,是圣物。 31 如果有人想从那十分之一中赎回一部分,他要加付估价的五分之一。 32 至于牛羊,要让它们从牧人的杖下经过,每数十只,第十只属于耶和华,是圣物。 33 不论是好是坏,不可挑拣,不可更换。如果更换,两只都要归耶和华,不可赎回。”

34 以上是耶和华在西奈山上借摩西向以色列人颁布的诫命。

Footnotes

  1. 27:25 一舍客勒约合十一克。
  2. 27:28 永远献上的”指完全献给耶和华、永不可赎回的人或物,一般要被毁灭。此律多适用于战争中被攻占的城邑或战俘。

약속이 중요하다

27 주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하여라. 너는 그들에게 이렇게 일러라.

‘누구든지 주께 사람을 드리기로 특별히 맹세하고 그 사람의 값에 해당하는 돈을 바치려는 사람은 이렇게 하여라. 스무 살에서 예순 살 사이의 남자는 성소에서 쓰는 단위[a]로 은 오십 세겔[b]을 바쳐야 한다. 스무 살에서 예순 살 사이의 여자는 은 삼십 세겔을 바쳐야 한다. 다섯 살에서 스무 살 사이의 남자는 이십 세겔, 여자는 십 세겔을 바쳐야 한다. 난 지 한 달 된 아기에서 다섯 살까지의 어린이라면 남자아이는 오 세겔, 여자아이는 삼 세겔을 바쳐야 한다. 예순 살이 넘는 남자는 십오 세겔, 여자는 십 세겔을 바쳐야 한다.

그러나 약속한 사람이 너무 가난하여 정해진 값을 치를 수 없으면 그가 주께 바치기로 한 사람을 제사장에게 데려 와야 한다. 그러면 제사장이 맹세한 사람의 형편에 따라 값을 정해 주어라.

주께 바치는 제물

그가 맹세한 것이 주께 제물로 바칠 수 있는 짐승이면 주께 바치기로 한 그것은, 곧 거룩한 것이 된다. 10 그러므로 바치기로 맹세한 짐승을 바꿀 수 없다. 좋은 것을 나쁜 것으로 바꿀 수도 없고 나쁜 것을 좋은 것으로 바꿀 수도 없다. 만약 어쩌다가 바꾸게 되면 처음 것과 바꾼 것 둘 다 거룩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둘 다 주께 바쳐야 한다.

11 만약 바치기로 한 것이 주께 드릴 수 없는 부정한 짐승이면 그 짐승을 제사장에게 가져와야 한다. 12 제사장은 그 짐승이 좋은지 나쁜지 그 질을 판정하여야 한다. 제사장이 값을 얼마로 매기든지 그것이 그 짐승의 값이 된다. 13 짐승의 주인이 그 짐승을 무르고 싶으면[c], 그는 제사장이 매겨 준 값에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내야 한다.

집의 가치

14 누구든지 자기 집을 주께 바쳐 거룩하게 하려면 제사장이 그 집이 좋은지 나쁜지 판정을 내려 값을 매겨야 한다. 제사장이 값을 얼마로 매기든지 그것이 그대로 집값이 된다. 15 만약 집을 바치기로 했던 사람이 그것을 무르고 싶으면 제사장이 정해준 값에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내야 한다. 그러면 그 집이 다시 그의 것이 된다.

땅의 가치

16 어떤 사람이 유산으로 물려받은 땅의 일부를 거룩하게 구별하여 주께 바치려고 하면, 그 땅에 얼마나 많은 씨앗을 뿌릴 수 있느냐에 따라 그 값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보리 씨앗 일 호멜[d]을 뿌릴 수 있으면 그 땅값은 오십 세겔이다. 17 그 사람이 희년[e]에 그의 땅을 바치려 하면 제사장이 정해준 대로 가격을 치면 된다. 18 그러나 희년이 지난 다음에 땅을 바치려 하면 제사장은 다음 희년까지 남은 햇수에 따라 땅값을 매겨야 한다. 그러므로 처음 정한 값보다는 적게 매기게 될 것이다. 19 만약 땅을 바친 사람이 땅을 무르고 싶으면 땅값에 은으로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물러야 한다. 그러면 그 땅이 다시 그의 것이 된다. 20 그러나 그가 그 땅을 무르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팔면 그는 더 이상 그 땅을 되살 수 없다. 21 희년이 되어 그 땅이 풀리면 그 땅은 완전히 주께 바친[f] 거룩한 땅과 같이 되어 영원히 제사장들의 재산이 된다.

22 어떤 사람이 유산으로 물려받은 땅이 아니라 남에게서 사들인 땅을 주께 거룩하게 바칠 수 있을 것이다. 23 제사장은 희년까지 남은 햇수를 계산하여 그 값을 매겨야 한다. 그러면 그 사람은 그날로 매겨진 값을 주께 거룩한 것으로 바쳐야 한다. 24 그러다가 희년이 되면 그 땅은 원래 그 땅의 주인이었던 사람, 곧 처음 그 땅을 판 사람에게 되돌아간다.

25 앞에서 말한 모든 값은 성소에서 쓰는 단위에 따라 이십 게라[g]를 일 세겔로 계산하여 매겨야 한다.

동물의 가치

26 짐승의 처음 난 새끼는 이미 주의 것이기 때문에 다시 거룩하게 바치지 않아도 된다. 그것이 소이든 양이든 이미 주의 것이다. 27 그러나 부정한 짐승이 처음 낳은 새끼는 그 주인이 무를 수 있다. 그러려면 정해진 값에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내야 한다. 그러나 주인이 그것을 무르지 않으면 그 짐승은 매겨진 값에 팔아야 한다.

특별히 바치는 제물

28 사람이 자기가 가진 것 가운데서 완전히 주께 바친 예물은, 그것이 사람이든 짐승이든 아니면 물려받은 땅이든 팔 수 없다. 그리고 다시 무를 수도 없다. 그렇게 바친 것은 주께 지극히 거룩한 것이다. 29 주께 완전히 바친 것이 사람이면 그 사람은 무를 수 없다. 그 사람은 죽여야 한다.

30 밭에서 나는 곡식이든 나무에 열린 열매든 땅에서 나는 것의 십분의 일은 주의 것이다. 그것은 주께 바쳐야 할 거룩한 것이다. 31 누가 그 십분의 일을 꼭 무르려면 그는 그 값에 오분의 일을 더 얹어서 내야 한다.

32 소 떼나 양 떼에서도 각각 십분의 일을 주께 바쳐야 한다. 목자의 지팡이 밑으로 짐승을 지나가게 하여 열 번째 것마다 주께 바쳐야 한다. 33 나쁜 것들 가운데서 좋은 것을 골라내거나 바꿔치기를 해서는 안 된다. 만약 그가 바꿔치기를 하면 처음 것과 바꿔치기한 것 둘 다 주께 바친 거룩한 것이 되어 둘 다 무를 수 없다.’”

34 이 것이 주께서 시내 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하라고 모세에게 내리신 명령들이다.

Footnotes

  1. 27:3 성소에서 쓰는 단위 성막이나 성전에서 제사장들이 쓰는 기본 단위. 25절
  2. 27:3 세겔 1세겔은 11.5그램. 16절
  3. 27:13 그 짐승을 무르고 싶으면 맏아들이나 처음 난 짐승을 주께 바치거나 무를 때 지켜야 할 규정을 알려면 출 13:1-16을 볼 것.
  4. 27:16 일 호멜 1호멜은 내용물이 말랐을 때의 부피로 2 리터이다.
  5. 27:17 희년 25:8-13을 볼 것.
  6. 27:21 완전히 주께 바친 곧 ‘주의 것으로 따로 떼어 놓은’. 거룩한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은 주께 바쳐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수 6:19) 28절
  7. 27:25 게라 1게라는 0.6그램